1

투고 자격

가. 투고 자격: 한국구석기학회 당해 연도 회비를 납부한 회원을 원칙으로 한다.

나. 비회원의 경우, 편집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논문투고가 가능하다.

2

논문의 양

가. 초록, 본문, 참고문헌, , 그림 등을 포함한 전체 분량은 인쇄면 수 30페이지(원고지 기준 매수 약 135)를 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이를 넘는 경우, 초과료를 학회에 납부함을 원칙으로 한다.

3

편집체계

가. 『한국구석기학보1단 편집을 기본으로 한다.

4

가. 논문은 한국어 또는 영어, 불어, 일본어, 중국어로 작성될 수 있다.

, 한국어로 작성 된 논문의 경우 영문 요약문을, 영어, 불어, 일본어, 중국어로 작성된 논문의 경우 한국어 요약문을 작성하여야 한다.

5

가. 논문은 제목, 필자, 목차,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의 순서대로 작성한다.

나. 필자는 성명, 소속, 직위, 이메일을 명기하며, 소속과 직위의 표시는 하단의 표를 참조한다.

    한편 논문의 저자가 2명 이상의 경우에는 기여도에 따라 주저자, 공동저자, 교신저자를 반드시 추가 표기하여야 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주저자 : 논문을 함께 쓴 여러 사람 가운데 주장이나 중심이 되는 저자로 논문의 결과 및 증명에 대하여 총괄적인 책임을 지는 저자

    · 공동저자 : 논문을 함께 쓴 저자

    · 교신저자 : 투고논문에 대해 편집위원회 또는 다른 연구자들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저자

ckeditor_image.png
 

. 논문 저자가 현재 소속이 없는 미성년자의 경우 최종 소속, 직위, 재학년도를 제출하여야 하며 편집위원회에서 별도 관리한다.

6

가. 논문의 원고는 아래한글이나 MS Word로 작성하여야 한다.

7

가. 논문을 투고할 때는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을 이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8

가. 논문 투고시 편집용지는 A4용지 세로를 기준으로 하며여백은 위쪽 20, 머리말 15, 왼쪽 30, 오른쪽 30, 꼬리말 15, 아래쪽 15, 제본 0로 한다.

9

가. 논문 투고시 문단모양은 다음과 같다.

   1) 줄간격은 160%로 한다(, 참고문헌 및 각주의 경우는 130%).

   2) 문단모양의 여백은 왼쪽, 오른쪽 0pt이며, 줄간격은 글자에 따라 문단 위, 아래 0이다.

   3) 정렬방식은 양쪽혼합이다(낱말간격 0 %).

10

가. 논문 투고시 글자모양은 다음과 같다.

   1) 글꼴은 신명조, 함초롱바탕, 고딕을 기본으로 한다.

   2) 글자크기는 10pt로 한다(, 각주의 경우는 9pt).

   3) 장평은 100%, 자간은 0%로 한다.

11

가. 각 장, 절의 제목 표시 방법은 각 장의 제목은 차례에 따라 로마숫자인 , , , 등으로 표시한다.

나. 장 이하의 소제목은 차례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인 1, 1), (1) 등으로 표시한다.

다. 소제목의 항목이 많을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가, , 다 등도 활용될 수 있다.

라. 각주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마. 감사의 말씀 또는 자료의 분석이나 이용에 도움을 받았던 내용 등을 언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맺음말 끝부분에 별표(*)를 한 다음 넣도록 한다.

12

가. 표, 그림, 사진, 지도 등의 캡션 차례는 < >로 나타낸다. 캡션은 해당하는 표, 그림, 사진, 지도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 <1>, <그림 1>, <사진 1>

13

가. 표, 그림, 사진 등과 관련된 내용이 본문 안에 들어갈 경우는 ( ), < >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 “격지각의 분포는 암질에 따라 그 변화의 범위가 다양하다(그림 1, 1 참조). 이런 점으로 볼 때, 석기의 제작기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 가운데 하나가 암질상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림 2>는 석기의 제작기법과 암질의 상호관계를 잘 보여준다. 그에 대한 결과는 <2>에 나와 있다.”

14

가. 도량형 단위 등을 영문으로 표현할 때는 가급적 전각기호에 나와 있는 것을 사용한다. 도량형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단위별로 끊어서 표시한다.

) ‘10000‘10,000’(또는 ‘1만년’) ‘2900‘2,900’.

15

가. 연대를 표시할 경우는 ‘B.C.’‘BC’, ‘A.D’.‘AD’, ‘B.P.’‘BP’로 한다.

나. 방사성탄소연대의 경우, 눈금 맞춤연대(보정연대, calibrated age)가 아닐 때는 BP를 사용할 수 있다.

16

가. ‘:’‘;’는 앞 낱말의 끝쪽에 붙여 쓰도록 한다.

) ‘1: 표토층’.

17

가. 본문에서 강조하고 싶은, 두서너 개 이내의 낱말로 이루어진 부분은 홑따옴표(‘..........’) 안에 넣는다. 인용문의 경우는 겹따옴표(“.................”) 안에 넣는다.

18

가. 본문 안에서 한국어(또는 일본어, 중국어 등)로 된 인용 자료의 표시는 필자 연도: 쪽수에 준하여 작성한다.

   1) 필자가 한 사람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철원 장흥리 유적은 강원대학교 박물관 조사단(김남돈 1995)에 의하여 알려졌다.”. 쪽수까지 밝힐 경우는 ‘(김남돈 1995: 10-20)’과 같이 한다.

   2) 필자가 두 사람 이상인 경우는 ‘(박영철·서영남 1999)’과 같이 한다.

   3) 여러 사람의 필자 가운데 대표로 한 사람만을 적을 때는 ‘(이선복 외 1997)’과 같이 한다.

   4) 동일한 필자의 여러 자료를 동시에 인용할 경우는 ‘(홍길동 1990, 1991, 1993, 1994)’과 같이 한다.

   5) 여러 사람의 자료를 동시에 인용할 경우는 ‘(홍길동 1990, 1991, 1993: 23-34, 1994; 김남돈 1995: 10-20; 박영철·서영남 1999; 이선복 등 2000)’과 같이 한다.

      가) 이때 인용자료의 제시는 발표연대순으로 한다.

      나) 만약 한국어 및 영어로 된 인용자료가 함께 표시될 경우 한국어 자료를 먼저 제시한다.

      *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의 경우, 필자의 성()과 이름을 가급적 모두 적는다.

19

가. 본문 안에서 영어(또는 프랑스어, 독일어 등)로 된 인용자료의 표시는 필자 연도: 쪽수에 준하여 작성한다. 필자의 성()만 표기하거나 이니셜도 아울러서 사용할 수 있다.

   1) 필자가 한 사람인 경우는 ‘(N. Noth 1985)’과 같이 표기한다. 만약 페이지 번호까지 밝힐 경우는 ‘(N. Noth 1985: 10-20)’과 같이 한다.

   2) 여러 필자를 제시할 때는 ‘and’(2) 또는 et al.’(3인 이상)로 표시한다. 필자가 두 사람일 경우와 세 사람 이상일 경우의 예는 각각 다음과 같다.

) 두 사람일 경우, ‘(K. Schick and N. Toth 1993)’.

) 세 사람 이상일 경우, ‘(Buckingham et al. 1996)’.

   3) 여러 문헌이 인용될 경우는 ‘(Noth 1985: 10-20; Schick and Toth 1993; Buckingham et al. 1996)’과 같이 한다.

   4) 인용자료의 제시는 발표연대순으로 한다. 만약 한국어 및 영어로 된 인용자료가 함께 표시될 경우는 한국어 자료를 먼저 제시한다.

   5) 동일인의 복수의 글을 포함하여 여러 사람의 글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는 ‘(Jones 1967, 1972, 1979; Noth 1985: 10-20; Schick and Toth 1993; Buckingham et al. 1996)’과 같이 한다.

20

가. 참고문헌 작성(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기본글꼴은 신명조, 함초롱바탕, 고딕 등으로, 크기 10pt, 줄간격은 160%이다.

   2) 논문일 경우, 필자, 연도. 논문명」『학술지명: 쪽수. 의 차례에 준하여 작성한다.

   3) 단행본일 경우, 필자, 연도. 책명, 발행처. 의 차례에 준하여 작성한다.

   4) 논문의 페이지를 표기할 경우, 마지막에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반면, 단행본의 페이지를 표기할 경우, ‘pp.’를 표기하고 이어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5) 잘 알려진 학회의 정기간행물인 경우는 발행처를 생략할 수 있으며, 논문의 페이지 역시 생략할 수 있다(, 논문 페이지를 생략한 경우 발행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가) 필자가 한 사람이고, 정기간행물에 실린 논문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이형우, 2001. 유물속성의 연구와 계량적 분석」『한국구석기학보1: 71-84.

      나) 필자가 두 사람 이상이고, 정기간행물에 실린 논문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최복규·최삼용·최승엽, 2001. 철원 장흥리 석기 연구」『한국구석기학보1: 1-23.

2) 謝飛, Toth, N., Schick, K. and Clark, J. D., 1994. 岑家灣遺址 1986年 出土 石製品的倂 合硏究」『文物季刊3: 13-20.

3) 衛奇·孟浩·成勝泉, 1985. 泥河灣層中新發現一處舊石器地點」『人類學學報4(3): 25-30.

* 4(3)의 경우에 4는 통권(通卷), 3은 호()를 가리킨다.

      다) 여러 사람의 필자 가운데 대표로 한 사람만 적을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다.

) 최복규 외, 2001. 철원 장흥리 후기구석기시대의 유적 연구」『한국구석기학보1: 1-23.

      라) 필자가 여러 사람인 경우에는 참고문헌 목록에 필자 모두 제시한다.

      마) 정기간행물인 아닌 단행본일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김영희(엮음 또는 편) 2000. 한국의 선사시대와 제4(개정판), 도서출판 기린.

2) 홍길동, 2000. 경기도의 구석기문화」『경기도의 어제와 오늘, 경기도 박물관, pp. 20-30.

3) 김철수, 2000. 선사시대의 자연환경」『한국의 선사시대와 제4, 김영희(엮음 또는 편), 도서출판 기린, pp. 15-24.

   6) 국외 도서인 경우, 도시명을 기입한다.

   7) 논문(또는 책명)에 부제가 있는 경우는 ‘-’ 또는 ‘:’ 를 사용할 수 있다.

) 홍길동, 2001. 선사시대의 문화 구석기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사학위논문은 「」로 처리한다.

21

가. 참고문헌 작성(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기본글꼴은 신명조, 함초롱바탕, 고딕 등이며, 크기는 10pt, 줄 간격은 160%이다. 들여쓰기는 0ch 이다.

   2) 논문일 경우, 필자, 연도. 논문명. 학술지명(이탤릭체) : 쪽수. 차례에 준하여 작성한다.

   3) 단행본일 경우, 필자, 연도. 제목(이탤릭체). 발행도시: 발행처. 차례에 준하여 작성한다.

   4) 논문의 페이지를 표기할 경우, 마지막에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반면, 단행본의 페이지를 표기할 경우, ‘pp.’를 표기하고 이어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5) 잘 알려진 학회의 정기간행물인 경우는 발행처를 생략할 수 있다.

   6) 논문명은 신명조로 표시하고, 학회지 및 단행본의 명칭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가) 필자가 한 사람이고, 정기간행물에 실린 논문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Butzer, K. W., 1971. Global sea-level stratigraphy: an appraisal. Quaternary Science Reviews 2: 1-15.

2) Weaver, K. T., 1967. Magnetic clues help date the past. National Geographic 131(5): 696-701.

* ‘131(5)’의 경우에 ‘131’‘Vol.’을 의미하며, ‘5’‘No.’를 가리킨다.

      나) 필자가 한 사람이고, 단행본일 경우는 다음과 같다.

) Roe, D., 1981. The Lower and Middle Palaeolithic Periods in Britain. London, Boston and Henley: Routledge & Kegan Paul.

      다) 필자가 두 사람 이상이고, 정기간행물에 실린 논문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Atkinson, T. C., Briffa, K. R. and Coope, G. R., 1987. Seasonal temperatures in Britain during the past 22,000 years, reconstructed using beetle remains. Nature 325: 587-592.

2) Yi, Seon-bok and Clark, G. A., 1983. Observation on Lower Palaeolithic of Northeast Asia. Current Anthropology 24(2): 181-202.

      라) 여러 사람의 필자 가운데 대표로 한 사람만 적을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다.

) Atkinson, T. C. et al., 1987. Seasonal temperatures in Britain during the past 22,000 years, reconstructed using beetle remains. Nature 325: 587-592.

      마) 필자가 여러 사람인 경우, 참고문헌의 목록에서는 필자를 모두 제시한다.

      바) 학회 등의 정기간행물이 아닌 단행본 내의 논문이 인용되었을 경우, 단행본의 책명 앞에 ‘In’ 을 넣어 표시한다. 단행본의 편집자가 단수일 경우는 ‘(ed.)’ 복수일 경우는 ‘(eds.)’를 표기한다.

1) Boydston, R., 1989. A Cost-benefit Study of Functionally Similar Tools. In: Time, Energy and Stone Tools. Torrence, R., (ed.), Cambridge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7-77.

2) Ashton, N., 1992. The High Lodge Flint Industries. In: High Lodge Excavations by G. de G. Sieveking, 1962-68 and J. Cook 1988. Ashton, N., Cook, J., Lewis, S. and Rose, J., (eds.), British Museum Press, pp. 124-163.

* 논문(또는 책명)에 부제가 있는 경우는 ‘-’ 또는 ‘:’ 를 사용할 수 있다.

) Schick, K. and Nicholas T., 1993. Making Silent Stones Speak: Human Evolution and the Dawn of Technolog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2

가. 한국어, 중국어 등의 논문 또는 단행본을 영어로 번역하여 목록을 작성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Yi, Seon-bok, 2000. For chronology and stratigraphy of Korean paleolithic.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42: 1-22 (in Korean).

2) Gao, X., 1999. A discussion on Chinese Middle Paleolithic. Acta Anthropologica Sinica 18(1): 1-16 (in Chinese).

23

가. 참고문헌 작성 예(한국어, 중국어 또는 일본어, 영문 등의 순서로 목록 작성)는 다음과 같다.

 

김영희(엮음 또는 편), 2000. 한국의 선사시대와 제4(개정판), 도서출판 기린.

 

김철수, 2000.선사시대의 자연환경」『한국의 선사시대와 제4, 김영희(엮음 또는 편), 도서출판 기린, pp. 15-24.

 

이형우, 2001. 유물속성의 연구와 계량적 분석」『한국구석기학보1: 71-84.

 

최복규·최삼용·최승엽, 2001. 철원 장흥리유적의 석기 연구」『한국구석기학보1: 1-23.

 

홍길동, 1996. 경기도의 구석기문화 연구, 한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謝飛, Toth, N., Schick, K. and Clark, J. D., 1994. 岑家灣遺址 1986年 出土 石製品的倂合硏究」 『文物季刊3: 13-20.

 

衛奇·孟浩·成勝泉, 1985. 泥河灣層中新發現一處舊石器地點」『人類學學報4(3): 25-30.

 

Atkinson, T. C., Briffa, K. R. and Coope, G. R., 1987. Seasonal temperatures in Britain during the past 22,000 years, reconstructed using beetle remains. Nature 325: 587-592.

 

Butzer, K. W., 1971. Global sea-level stratigraphy: an appraisal. Quaternary Science Reviews 2: 1-15.

 

Coles, J. M., 1979. Experimental Archaeology. New York and London; Academic Press.

 

Gao, X., 1999. A discussion on Chinese Middle Paleolithic. Acta Anthropologica Sinica 18(1): 1-16 (in Chinese).

 

Schick, K. and Nicholas T., 1993. Making Silent Stones Speak: Human Evolution and the Dawn of Technolog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부 칙


제1조(시행일자) 본 개정 규정은 2019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시행일자) 본 개정 규정은 2023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3조 본 규정에 대한 개정은 한국구석기학회 편집위원회의를 통해 진행한다.